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어깨 회전근개파열 증상 및 어깨 회전근개파열 치료방법

by 크라톤 2021. 2. 6.
반응형

● 어깨 회전근개파열 증상 및 어깨 회전근개파열 치료방법

안녕하세요. 창고대방출입니다. 집에서 과격한 운동을 하거나 헬스장 등 운동시설에서 운동을 한 후 어느 순간 어깨에서 통증이 느껴지게 된다면 회전근개파열을 의심해볼 수 있다. 어깨는 움직임이 많은 부위이다. 움직임이 많은 부위일수록 어깨에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질환이 발생하게 되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회전근개파열이란?

어깨 내부에는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 회전근개가 위치하고 있다.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는 4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회전근개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탄력이 떨어져 부분 손상되거나 파열되어 어꺠통증을 유발하는데 이 상태를 바로 회전근개파열이라고 한다.회전근개는 격한 스포츠 활동을 하거나 어깨를 무리하게 움직이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했을 때 파열될 수 있다.

 

 

회전근개파열은 40세 이상 중장년층에서 퇴행성 변화로 인하여 파열이 발생할 수 있지만 개인 활동량에 따라 20대부터 80대 등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평소 어깨를 크게 사용하는 스포츠를 즐기는 분들이라면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 회전근개파열의 원인

① 어깨관절 주변 조직의 퇴행성 변화
② 어깨를 무리하게 움직이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
③ 어깨관절을 사용하는 운동을 무리하게 할 경우
④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지 않은 상태로 격한 움직임을 했을 때
⑤ 평소 노동을 하거나 손과 팔을 많이 쓰는 직업군(야구선수, 수영선수, 테니스선수, 목수 등)

이러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어깨회전근개파열은 특히 어깨관절 주변 조직의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는 40대 이상 중년층에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어깨회전근개파열의 증상

① 팔을 위로 올릴 때 극심한 통증으로 잘 올릴 수 없지만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올릴 수 있는 경우
② 주로 낮보다는 밤에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우
③ 옆으로 누워있는 자세를 할 때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④ 팔을 등 쪽으로 돌릴 때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우.
⑤ 어깨근력이 약해지고 팔을 움직일 때 어깨에서 마찰음 같은 소리가 나는 경우

 

 

이러한 회전근개파열 증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은 악화되어 스스로 팔을 올리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조기에 병원을 내원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 회전근개파열 VS 오십견 증상의 차이

회전개파열과 오십견은 중년층에 많이 발병하는 퇴행성질환이지만 증상면에서 차이가 있다. 회전근개파열은 주로 팔을 위로 올릴 때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완전히 팔을 위로 올렸을 경우에는 통증이 나아지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 외에도 오십견은 다른 사람이 도와줘도 팔을 위로 올리기가 어렵고 회전근개 파열의 경우 환자 스스로 팔을 올리기는 힘들지만 다른 사람이 도와주면 팔을 올릴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차이를 보이지 않는 환자분들도 있기 때문에 어깨통증 증상만으로 두 질환을 판단하지 말고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회전근개파열의 치료방법

회전근개파열이 있다고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어깨 회전근개 파열 정도를 정확하게 진단한 후 그에 맞는 치료법을 적용해야 한다.
초기에 부분 파열이 있는 경우라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해볼 수 있고, 통증이 심한 경우라면 주사치료(프롤로주사), 체외충격파, 고주파 치료 등의 비수술 치료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① 도수치료 : 척추와 관절, 근육의 밸런스를 되찾고, 근력을 강화시켜 근육과 관절의 기능을 향상
② 주사치료 : 초음파 유도하에 손상된 부위에 증식제를 주입하여 인대나 힘줄 부위를 강화하는 치료
③ 체외충격파 : 손상된 부위에 충격파를 가해 유착된 근육과 인대, 힘줄 등을 치료하여 통증 감소
④ 고주파 투열치료 : 고주파 전류를 통해 조직에 열을 가함으로써 즉각적인 통증과 부종을 감소, 관절 가동 범위 증가
⑤ 재활운동 : 근육 및 관절 부위의 가동성을 늘려주고, 섬세한 저항 운동 등을 통해 근력을 강화하여 재발을 예방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 눌러주세요

여러분의 '공감' '댓글' '공유'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