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심한 어깨통증 오십견증상 및 치료방법

by 크라톤 2021. 1. 28.
반응형

● 심한 어깨통증 오십견증상 및 치료방법 


안녕하세요 창고대방출입니다.

우리 몸은 추위로 인해 몸을 웅크리며 어깨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진다.

중년 여성의 어깨 통증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오십견이다.

팔이 잘안올라가며 심한 어깨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단순한 통증이 아닌 '오십견' 증상일 수 있다는 사실!!

어깨의 만성 통증과 운동 범위의 감소를 일으키는 오십견은 전체 인구의 약 2~5% 정도에서 발병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정확한 의학적 질환명은 동결견 또는 유착성 관절낭(막)염이다.

실제 오십견은 40~60대에게 잘 생기나, 이보다 젊은 연령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빅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오십견 환자는 769,590명이었다. 이중 약 13%가 50대(99,805명)로 연령대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니, 오십견이라는 말이 사실이기는 한다. 그러나 20대 4,797명, 30대 13,316명, 40대 49,540명으로, 50대 이하 환자도 적지 않은 편이다.



■ 오십견의 원인 


오십견은 여성에서 좀 더 쉽게 생기며, 양쪽 어깨 중에서도 덜 사용하는 어깨에 잘 생기는 편이다. 참고로 오십견은 당뇨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오십견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특발성 오십견, 즉 특별한 원인이 없이 발생한 오십견이다. 나머지 하나는 다른 질환이 먼저 있어 그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오십견이다. 특발성 오십견은 어깨의 특별한 다른 질환이 없는데도 어깨 관절의 연조직이 점차 구축되며 발생하며, 발병 원인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오십견의 치료 방법 


오십견의 일차적 치료는 보존적 치료(비수술적 치료)이다. 운동 범위의 증진을 위하여 시행하는 물리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 관절 내에 약물을 주입하는 주사 치료 등은 초기 오십견에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상당수의 환자는 이러한 보존적 치료로 통증과 운동 범위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과거에는 짧으면 1년, 길면 3.5년 정도의 기간이 지나면 오십견이 어느 정도 자연 치유된다고 하여 치료를 다소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몇 년간 고통을 참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며 절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통증은 없어진다 하더라도 결국 어깨에 상당한 운동 제한이 남게 된다. 게다가 시간이 흘러도 약 50% 정도의 환자에서 통증이 지속되고, 약 60%의 환자에게 여전한 관절 운동 제한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어 보다 적극적으로 오십견 치료를 해야한다.


 오십견의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심한 통증, 특히 밤에 심해지는 통증이다. 통증은 길게는 수개월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운동 범위의 제한도 함께 나타난다. 오십견 환자는 특징적으로 모든 방향으로의 관절 운동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오십견의 예방


날씨가 쌀쌀한 계절에는 온몸의 모든 관절이 뻣뻣해질 수 있는데, 그 중 어깨 관절이 가장 예민한 관절 중 하나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평소 어깨가 굳지 않도록 어깨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당뇨 등 오십견과 연관이 깊은 질환이 있는 분이라면 어깨 관절의 스트레칭과 함께 당 조절에 신경 써야 한다. 통증이 시작됐을 때 지체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도 중요하다.


오늘하루도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 눌러주세요

여러분의 '공감' '댓글' '공유'는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행성 관절염에 도움이 되는 음식  (0) 2021.01.28
비염에 좋은 음식으로 꾸준히 관리하자  (0) 2021.01.28
구연산 활용법  (0) 2021.01.24
과탄산소다 활용법  (0) 2020.08.24
병아리콩 효능  (0) 2020.08.18

댓글